2023. 5. 2. 08:17ㆍ식품 이야기
GMO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의 약어로 생물체의 우월하거나 우수하거나 유용한 유전적인 것을 추출배양하여 유용한 쪽으로 개발된 즉 변형된 재배물을 뜻한다.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이용한다는 뜻이다. 이러한방법과 기술을 통하여 재배된 원료를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유전자변형식품 이라고 칭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유전자변형식품에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성이 검증된 식품으로 사용할수 있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감자체가 유전자변형식품 이라고하면 무언가 변형되어서 부정적인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일각에서는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결과를 이야기하지만 미국학술원측에서는 정확한 검사결과가 없다고 보고한적이 있습니다.
GMO 식품이 개발된 계기
전세계적으로 경작지 감소와 기후, 그리고 인구의 증가등 여러가지 이유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식량자원의 고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의 주요 원인은 급격한 산업화의 원인을 꼽을수 있습니다. 산업화 되면서 농작물 경지 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식량부족의 문제로 대두됩니다. 그래서 낮은 노력으로 고효율을 낼수 있는 방안으로 우수한 유전자의 개발 및 접목으로 식량공급을 증대할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입니다. 병충해에 관한 저항성강화, 수확량증가, 기상의 악영양에도 잘 자랄수 있는 품종 이러한 부분들로 변형되고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물론 부작용도 있는건 사실입니다. 유전자변형식품은 나쁘다고만 볼수는 없는듯합니다.
유전자변형식품은?
우리나라는 식품위생법상 GMO검사를 실시하여 승인된 식품만 유통이 가능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유채)가 대부분이며 감자, 쌀, 멜론, 토마토, 호박등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유전자변형 식품은 나쁜가?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나라는 GMO에 관한 안전성 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승인된 식품만 유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지대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2016년발표된 미국학술원측에서는 인체에 해롭다, 사용이 불가하다는 정확한 검사결과가 없다고 보고한적이 있습니다. 승인된 유전자변형식품 결국 소비자의 판단과 그리고 이해정도에 따라 다르게 생각될수 있습니다. 각계각층에서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우려섞인 목소리가 들려오고 한편에서는 안전식품이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이해와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입니다.
'식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 효능(영양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먹는방법 (0) | 2023.05.09 |
---|---|
고구마 효능과 영양성분 (1) | 2023.05.04 |
표고버섯 영양소 및 효능 (0) | 2023.04.28 |
양파 수확시기 및 보관법 그리고 양파 효능 (0) | 2023.04.26 |
여름철(하절기) 쌀 보관방법 및 쌀 고르는법 (0) | 2023.04.21 |